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78

벡터 데이터 - GIS 벡터 데이터지리는 여러 형태로 표현포인트, 라인, 폴리곤분리된 객체를 표현하기에 유리인공 피처 (행정 경계, 도로, 건물)자연 피처 (하천, 호수, 산림지) 백터 형태는 실제 위치와 연결 현실세계의 대상물을 지리 데이터로 표현는 방법은 크게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 중 벡터 데이터는 현실세계의 대상물을 포인트, 라인, 폴리곤 중 하나의 도형으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도형은 모두 좌표값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또한 벡터 데이터는 래스터 데이터에 비해서 분리된 객체를 표현하는데 유리합니다. 인공적인 피처로는 행정 경계, 도로, 건물 같은 대상물이 적합하고 자연적인 피처로는 하천, 호수, 삼림지 등이 적합한 유형입니다.벡터 데이터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앞.. 2014. 2. 9.
DB Trigger 란? DB Trigger 란? 1. 트리거(Trigger)란 트리거란 특정 테이블의 데이터에 변경이 가해졌을 때 자동으로 수행되는 저장 프로시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배웠던 저장 프로시져는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수행시켜야 했습니다.(물론 SQL Server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수행되게 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하지만 트리거는 이와 달리 테이블의 데이터가 INSERT, UPDATE, DELETE문에 의해 변경 되어질 때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이 기능을 이용하며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트리거를 사용자가 직접 수행 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사원]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오면(즉 신입 사원이 들어오면) [급여]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즉 신입 사원의 급여 정보)를.. 2014. 2. 9.
FIFA 온라인 3 조작키 출처 - 피파 온라인 3 inven ■ 피파 온라인3 조작법 총정리 선수들이 내 마음대로 조종들이 안되시죠? 드리블에 대한 기초상식을 조금 설명하겠습니다. 아시는분은 그냥 넘어가시고, 모르는 분들을 위한 팁이라고 할까? 나도 피파3 접하고 한참후에 알았는데, 알고 난후로는 포메이션이고 뭐고 없습니다. 그냥 닥드리블후 골을 넣는편이라 이후 개인기 조금 익히시면 엄청난 컨트롤을 자랑하시게 될겁니다. 1, 컨트롤 드리블 - 컨트롤 누르고 방향키 설정하시면 e 누르고 달릴때 보다 더 길게 드리블하고 달립니다. 일명 "치고 달리기"라는것인데, 앞에 수비수가 있을 경우에는 자짓 뺏길수 있으니, 수비수를 완전히 제껴을때 사용을 하면 좋습니다. 2, E 드리블 - 평상시 드리블 하면서 달리는거죠, 기본키이니 아실겁니다.. 2014. 2. 8.
다 네 잘못이다 ‘공평한 세상의 오류’(just-world fallacy) 이러한 믿음의 가장 큰 문제는 명백한 가해자가 있는 상황에서조차 오히려 피해자에게 그 잘못을 묻는 ‘불공평한’ 판단을 하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세상은 공평하니까 피해를 당한 것조차도 결국 피해자 개인의 잘못이란 오류에 빠지게 되는 것. 경제 부총리가 카드사라는 명백한 가해자가 있음을 알고 있었음에도 개인 정보 유출 피해자들에게 ‘동의’를 신중하게 하지 못했다며 책임을 묻는 것 역시 ‘공평한 세상 오류’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왕따 피해자에게 성격이 원만하지 못해서 왕따를 당한다거나, 성폭력을 당한 여성에게 조신하지 못해서 당했다거나, 식민지배를 당한 조선인들에게 조선이 무능력해서 식민지가 됐다고 하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2014. 2. 7.
리눅스 파일 유형 출처 : 여기 리눅스의 파일 유형쉘에서 ls -l 를 쳐보면 -rw-rw-r-- 과 같은 문자열을 볼 수 있는데, 이 문자열은 해당 파일의 유형과 퍼미션을 나타낸다. 표 1) 리눅스의 파일 유형 기호의미 기호 의미 -일반 파일 d디렉토리 파일 l심볼릭 링크 파일 bBlock Device 파일 cCharacter Device 파일 s네트워크 소켓 파일 loop7은 Block Device 파일mcelog는 Character Device 파일 dir 은 디렉토리test는 일반 파일test_simbolic은 심볼릭 링크 파일을 의미한다. 2014. 2. 7.
우분투(Ubuntu) 소개 우분투(Ubuntu) 소개 우분투는 컴퓨터에서 프로그램과 주변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중 하나입니다. 우분투는 캐노니칼(Canonical)사의 지원을 받아 무료로 배포되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는 리눅스의 데비안 계열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우분투라는 이름은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는 타인을 향한 인류애를 뜻하는 반투어입니다. 반투어는 짐바브웨나 르완다 등 아프리카 중부지역에서 사용하는 말입니다. 우분투는 OS로서 이름 속에 담긴 철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수 많은 사용자들이 우분투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각국 언어로 번역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분투 사용자들은 같은 OS를 사용한다는 공감대 아래 공동체(community)를 .. 2014.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