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78 [Sqlite] 2. SQLite User Guide - PRAGMA, DATA TYPE SQLite User Guide 두번째 포스트입니다. SQLite Document를 보다 보니 PRAGMA란 지시어(확장 명령어)가 나옵니다. 오라클에서도 PL/SQL 개발할 때 자율 트랜젝션이나 에러 정의 할 때 등 몇몇 부분에 PRAGMA 지시어를 사용할 수 있긴 합니다만 SQLite만의 독특한 기능들이라서 별도로 포스트를 구성했습니다. 전체 PRAGMA 지시어 (http://www.sqlite.org/pragma.html ) 중에서 자주 사용할 법한 몇가지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QLite User Guide 포스트 목차 1. SQLite User Guide - 소개. GUI Tools 등 2. SQLite User Guide - PRAGMA, DATA TYPE 3. SQLite User Gui.. 2011. 4. 8. [Sqlite] 1. Sqlite 특징 SQLite의 특징. Sqlite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Zero Configuration – sqlite는 별도의 설치 및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파일 하나만 있으면 모든걸 할 수 있습니다. 2. Portabiliy – 이식성. 거의 모든 OS에서 다 돌아갑니다. 최대 2 terabytes까지 지원하며, 기본 encoding으로 UTF-8과 UTF-16을 지원합니다. 3. Compactness – 아주 가볍고 작습니다. Header file, library, 관계형 데이터를 다 포함해도 사이즈가 얼마 안됩니다. 4. Simplicity – sqlite는 아주 단순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programming library를 제공하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언어로 확장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 2011. 4. 8. [Sqlite] 0. SQLite 소개 1. SQLite 소개 SQLite는 아시다시피 iphone이나 android에서 사용하는 파일 베이스 RDB입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Zero Configuration, Portabiliy, Compactness, Simplicity, Flexibility, Liberal Licensing, Reliability 라고 www.sqlite.org 사이트에 나와 있습니다. 좋은 말은 다 있는것 같습니다. 저희가 알아야 될 세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요합니다. SQLite는 ANSI92의 기능을 대부분 지원하지만, 아래의 사항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1. RIGHT and FULL OUTER JOIN : LEFT OUTER JOIN만 지원합니다. 2. Complete ALTER TABLE Support :.. 2011. 4. 8. 문자열 관련 자료형 정리 문자열 관련 자료형 정리 LPSTR : char * LPCSTR : const char * LPCTSTR : const char * 또는 const WCHAR * WORD : 보통 2바이트의 부호없는 정수형 (*.word형을 string형으로 바꾸기 string := IntToStr(word); ) DWORD : 4바이트의 부호없는 정수형 DWORD unsigned long 그럼, WORD와, int의 차이점은... WORD는 4글자 int는 3글자 typedef unsigned short WORD; //WORD는 예약어가 아니죠 (typedef는 변수부분) (cf.define은 전처리 부분) *.단순참고 char, unsigned char, signed char : 1 byte short, unsign.. 2011. 4. 7. 파일존재 파악, 선택시 파일삭제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CString strFilePath = "파일경로"; BOOL bCheck = find.FindFile(strFilePath); 주로 파일이 있냐 없냐를 판독한다. DeleteFile()함수와 함께 선택시 파일삭제도 한다. //bDel 0) { bCheck = TRUE; //파일사이즈가 0보다크니깐 쓸수 있다 } else { bCheck = FALSE; //파일사이즈가 0이거나 작으면 못쓰니깐 fALSE } return bCheck; }//////////////////////////////////////////////////////////////////////////////////////// CStdioFile ExistFile; ExistFile.Remove(_T("te.. 2011. 4. 7. 파일 사이즈 얻어오기 파일 용량을 알아낼때 유용하다. 주로 파일사이즈 알아낼때 써먹기도 하지만, 텍스트파일에 내용이 쓰여있느냐 없느냐를 판독할때도 써먹는다. CString strFilepath = "파일경로"; // 파일경로 int nFileSize = 0; //파일사이즈 변수...파일용량에 따라 long, LONGLONG형으로 변환가능(되나?) HANDLE hFile = CreateFile(strFilePath, GENERIC_READ, 0, NULL, OPEN_EXISTING, 0, NULL); int nFileSize = GetFileSize(hFile, NULL); 2011. 4. 7. 이전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