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 & C++444

창의 최소화/최대화 크기 제한 창의 최소화/최대화 크기 제한 창의 최대화 버튼을 눌렀을 때 크기를 지정한다. WM_GETMINMAXINFO(OnGetMinMaxInfo) 메시지 핸들러 추가한다. void CMainFrame::OnGetMinMaxInfo(MINMAXINFO FAR* lpMMI) { lpMMI->ptMinTrackSize.x = 300; // 최소화 크기를 300으로 제한 lpMMI->ptMinTrackSize.y = 300; // 쵀소화 크기를 300으로 제한 lpMMI->ptMaxTrackSize.x = 600; // 최대화 크기를 600으로 제한 lpMMI->ptMaxTrackSize.y = 600; // 쵀대화 크기를 600으로 제한 CFrameWnd::OnGetMinMaxInfo(lpMMI); } ///////.. 2011. 10. 31.
타이틀바에 제목없음 제거하기 타이틀바에 제목없음 제거하기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제목없음이 나온다 왜 나오는지 모르겠다) 제목없음을 제거하려면 아래와 같이 FWS_ADDTOTITLE 속성을 제거해 주는 부분을 추가해 준다. BOOL CMainFrame::PreCreateWindow( CREATESTRUCT& cs ) { if( !CFrameWnd::PreCreateWindow(cs) ) return FALSE; cs.style ^= FWS_ADDTOTITLE; return TRUE; } 2011. 10. 31.
타이틀바없이 다이얼로그 이동 타이틀바가 없을경우 (ex : 다이얼로그 속성창에서 TitleBar 를 false한다거나) 혹은 다른 부분을 드래그해도 다이얼로그를 이동하게 만들자!! 1. WM_LBUTTON 메시지핸들러의 처리 void CXXXDlg::OnLButtonDown(UINT nFlags, CPoint point) { PostMessage(WM_NCLBUTTONDOWN,HTCAPTION,MAKELPARAM(point.x,point.y)); CDialog::OnLButtonDown(nFlags, point); } ->WM_NCLBUTTONDOWN은 wParam으로 주어진 곳의 Non-Client영역을 클릭했을때 클라이언트 영역을 클릭한 듯한 효과를 내며, wParam이 HTCAPTION 이므로 타이틀바를 클릭한 듯한 효과를 낸다. 2011. 10. 31.
팝업메뉴 만들기 특정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했을 때 CMenu 클래스를 이용하여 간단한 팝업 메뉴를 만들어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Menu 클래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추가하는 방법에는 2가지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1. AppenMenu 함수를 이용하여 메뉴 추가하는 방법 CMenu menu; // 팝업 메뉴를 생성한다. menu.CreatePopupMenu(); CString str; for(int i = 0; i < 4; i++){ str.Format("%d번 메뉴", i+1); // 팝업 메뉴에 메뉴를 추가한다. // 명령아이디는 20000, 20001,... 순으로 자동 배열함 menu.AppendMenu(MF_STRING, 20000 + i, (LPCTS.. 2011. 10. 31.
파일 목록얻기 2011. 10. 26.
트레이 아이콘 만들기 void CH7TrayDlg::RegistTrayIcon() { NOTIFYICONDATA nid; nid.cbSize = sizeof(nid); // 구조체의 크기 nid.hWnd = m_hWnd; // 메인 윈도우 핸들 nid.uID = IDR_MAINFRAME; // 아이콘 리소스 ID nid.uFlags = NIF_MESSAGE | NIF_ICON | NIF_TIP; // 플래그 설정 nid.uCallbackMessage = WM_TRAYICON_MSG; // 콜백메시지 설정 nid.hIcon = AfxGetApp()->LoadIcon(IDR_MAINFRAME); // 아이콘 로드 lstrcpy(nid.szTip, "Long live the Queen"); Shell_NotifyIcon(NIM_A.. 2011. 10. 26.
반응형